[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2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봄이라 하기에는 지독하게도 잔인한 날들이다. 여전히 봄다운 봄을 기다리는 마음 간절하다. 계절을 기다리는 설렘 가운데, 봄을 기다리는 마음보다 더 한 건 없지 싶다. 혹독한 추위 속에 이어지는 잔인한 세상살이 탓에 더 그렇다. 모두가 움츠러든 몸과 마음을 한껏 펼치고 환한 봄 햇살 아래를 오래 걷고 싶은 시절이다. 동백꽃은 추위가 혹독할수록 더 붉게 피어난다. 겨울 꽃으로 알려졌지만, 남쪽의 몇 곳을 제외한 대개의 지역에서 동백꽃을 보려면 아무래도 봄이 돼야 한다. 동백나무가 자생하는 가장 북쪽 지역인 고창 선운사의 경우, 4월 들어서야 피어날 정도다.
●기묘사화 때 낙향한 선비들이 심은 나무
동백꽃이 피기를 기다리는 마음에 성마르게 달려간 곳은 전남 나주 왕곡면 송죽리 금사정이었다. 그러나 아직 멀었다. 겨우 조롱조롱 맺힌 꽃봉오리는 여전히 단단한 겨울 침묵에 쌓인 채다. 나무 주위로 떨어진 열매 껍질 조각과 씨앗만 수북하다.
금사정 동백나무에 유난히 애착이 가는 건, 나무를 심은 사람들의 삶에 서리서리 맺힌 붉은 한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이다. 500년 전인 조선 중종 14년, 기묘사화의 참혹한 피바람이 세상을 휩쓸던 때의 일이다. 급진 개혁을 주창하던 풍운아 조광조가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고 죽음의 길로 떠난 뒤, 그를 따르던 선비들에게도 죽음의 피바람이 불어닥쳤다.
그들 가운데 이곳 나주 출신의 선비들이 있었다. 승지를 지낸 임붕(林鵬), 직장 벼슬을 지낸 나일손(逸孫), 생원 정문손(鄭文孫) 등 11명이었다. 현실 정치에서 좌절하게 된 그들은 피바람을 피해 고향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고향에서 금강 11인계를 조직한 그들은 짬짬이 세상 이치를 짚어 보며 훗날을 기약했다.
정자를 지은 건 그들이 낙향하고 10년쯤의 세월이 지나서였다. 정자는 ‘개혁정치’의 이상을 포기할 수 없는 선비들의 토론장으로 쓰였다. 정자를 다 지은 그들은 금강결사의 뜻을 따 ‘금사정’(錦社亭)이라 이름 붙이고 정자 앞에 나무를 심었다.
그들이 골라낸 나무는 동백나무였다. 세상이 변한다 하더라도 사철 내내 푸른 동백나무의 잎처럼 뜻을 잃지 말자는 다짐이었다. 또 좌절한 그들의 핏빛 한이 언젠가는 동백꽃처럼 화려하게 피어날 것이라는 기대도 담았다. 세월은 무심히 흘러 11명의 선비들은 채 꿈을 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고, 한 그루의 동백나무는 금사정 앞에 듬직하게 서서 옛 선비들의 이루지 못한 뜻을 지켜 왔다.
●독립한 동백나무로는 최초의 천연기념물
나무 줄기 안에 배어있는 선비들의 뜻을 새겨보는 중에 고요한 마을 길로 자동차 엔진 소리가 들려 왔다. 자동차 2대가 교차할 수 없는 비좁은 마을 길, 금사정 앞에 세운 차에서 내린 사람은 나주 지역에서 발행하는 지역신문의 기자였다.
“작년에는 이맘 때에 활짝 피었는데, 올해는 아직 이르네요.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는 소식을 듣고 꽃 피어나기를 기다려서 찾아 왔죠. 정말 멋지더라고요. 올해도 이 나무 사진을 신문 지면에 소개할까 하고 왔는데, 허탕이네요. 다시 와야죠.”
금사정 동백나무가 천연기념물 제515호로 지정된 건 2009년 12월이다.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사랑을 받아온 나무이건만 독립 노거수로서 동백나무 한 그루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이 나무가 처음이다.
국가로부터 버림받았던 선비들의 한을 국가가 보상해 주었다는 기쁨이라도 있었던 걸까.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이태 전의 겨울을 지내고 금사정 동백나무는 이듬해 햇살 따스하던 봄날, 여느 때보다 더 아름답게 꽃을 피웠다고 한다.
동백꽃은 화려한 붉은 빛으로 피어났을 때도 좋지만, 그 못지않게 낙화할 때의 멋도 좋다. 전혀 시들지 않은 붉은 꽃봉오리가 노란 꽃술을 그대로 담은 채 후드득 떨어지는 순간의 놀람은 숨이 멎을 듯하다. 한창 ‘세시봉’으로 주가를 올리는 가수 송창식도 그래서 동백 꽃을 ‘눈물처럼 후드득 떨어지는 그 꽃’이라고 노래했다. 지금 숱하게 매달린 꽃봉오리들이 모두 꽃을 피우고 후드득 낙화를 마쳤을 때의 장관이 눈앞에 선하다.
“나무 좋지! 저 정자를 지키는 사람이 살림채를 짓고 살면서 잘 지켜오다가 집도 허물고 지키던 사람도 떠났지. 금강계에서 관리하는 거야. 계원이 한 열댓 명 될 걸. 그 중에 우리 마을에 사는 계원은 한 명밖에 없어. 원래는 모두 여기 살던 사람이지만, 지금은 다 다른 데로 나갔어.”
꽃샘바람 사이로 살짝 비친 따스한 오후 햇살을 찾아 느린 걸음으로 해바라기 나온 정휴환(83) 노인의 이야기다. 옛 선비들처럼 개혁 정치를 이루기 위한 결사 조직은 아니지만, 여전히 옛 사람들처럼 금강계는 계속 이어진다고 한다. 금사정도 여전히 금강계에서 관리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나서, 정자 지킴이가 떠나고 그가 살던 살림채도 허물었다고 한다.
●오래도록 변함없이 이 땅을 지켜갈 나무
정 노인의 이야기에 수시로 들고나는 마을 살림살이의 변화가 성가시다는 듯한 아쉬움이 묻어있다. 나무는 변한 게 없는데, 그를 둘러싼 세상은 쉬지 않고 변했다. 옛사람은 나가고 새사람이 들어온다. 따라서 살림살이도 변했다. 마을 붙박이로 살아온 노인에게 변화는 성가실 뿐이다.
쉼 없이 변하는 사람살이 속에서도 금사정 동백나무는 개혁의 뜻을 잃지 않기로 맹세했던 옛 선비들의 핏빛 다짐을 잊지 않고 제 자리를 지켜왔고, 앞으로도 피처럼 붉은 꽃을 끊임없이 피워낼 것이다.
사람의 마을에서 사람들은 들고남을 거듭하며 숱한 변화를 일구겠지만, 나무는 오로지 제게 주어진 빛깔과 향기에 맞춤한 모습으로 직수굿이 살아남을 것이다. 안팎으로 잔인하게만 흘러가는 이 계절, 세월 흘러도 이 땅을 아름답게 지켜줄 한 그루의 동백나무가 그래서 더 소중하다.
글 사진 나주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 가는길
전남 나주 왕곡면 송죽리 130. 서해안고속국도 무안나들목으로 나와 광주, 나주 방면으로 3.5㎞ 가면 학교사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우회전하여 국도 23호선을 타고 11㎞ 가면 후동사거리에 이른다. 신포리 지석묘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8㎞ 쯤 더 간 뒤, 박포삼거리에서 다시 좌회전하여 1㎞ 가면 나오는 마을이 송죽리다. 마을 안으로 난 좁은 길로 250m 쯤 가면 마을 끝에 금사정이 나온다. 나무는 금사정 안에 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324021001
'떠나고싶은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사꽃 여행을 시작합니다 (0) | 2011.04.06 |
---|---|
쌍계사 벚꽃길과 다시 화엄사 흑매를 찾아갑니다 (0) | 2011.04.03 |
산벚꽃 흐드러진 비단같은 산골, 금산 보곡산골 (0) | 2011.03.31 |
"자작나무 숲을 가꾸며 방황은 끝났다" (0) | 2011.03.31 |
'용금옥(湧金屋)' (0) | 201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