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있는風景

Echinacea

by 진 란 2007. 3. 8.

Echinacea (에크나시아) -감기나 몸살-









작은 사진까지 확대하느라고......

들국화처럼 생긴 이 꽃은 정원의 관상용이나 농장에서 대량으로 약제로 키우며 평야나 둑에서

자생하여 주로 뿌리나 꽃대, 씨앗을 약으로 사용하거나 식물 전체를 즙으로 만들어 마십니다

에크나시아는 오래전부터 서양사회에서 감기몸살이다 싶으면 찾는 약초이며, 감기나 몸살이

빈번한 겨울철에 가정상비약으로 준비하였고, 인디언들은 이 약초를 뱀에 물렸을때도 독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했었고, 치통이나 목이 헐었을때도 사용했읍니다.

 

유럽에서 신대륙으로 이주한 유럽인들이 이러한 모습을보고 그들의 질병치료에 신속히 응용했는데

그후 이약초는 미주지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의 하나가되었고,

면역을 강화 해주는 이 약초에 많은 양이 함유 되어있는 원소는 inulin과 같은 복합 다당류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외부에서 독성물질이나 나쁜것들이 몸 안으로 들어왔을때 백혈구의 양를 늘려서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응하는것으로 동물실험이나 인체실험으로 증명하고있습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의 염증과 축농증, 입이나 피부의 염증에도 효과가 있고 콧물이나 목이붓고

아플때도 치료 효과가 있읍니다 임신한 사람에게는 금기이며 면역강화기능은 아주 확실하다고

하는군요

 

학명 :
서식지 : 유럽원산.
생약명 :
주요성분 : 뿌리 → Caffeocacid
약리기능 : 독사에 물렸을 때, 벌레에 쏘였을 때, 화상치료.
혈액정화제. 면역억제 효과 저해.
데이지와 같은 예쁜 꽃이 특징. 미국 인디언들이 약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식물.

 

학명 : Rheum Thaponticcum L.
서식지 : 원산지가 시베리아인 내한성이 강한 대형의 다년초.
생약명 : 약용대황 (Rhei Rhizoma) 근경 사용.
주요성분 : 근경 → anthraquinone 화합물인 chrysophanol,
emodin, rhein 등과 그 배당체, 사하 유효성분인
dianthron배당체인 sennoside A~F 그리고
tannin과 그 관련 화합물 등이 함유.
약리기능 : 완화작용이 있는 산성식품으로서 약용으로는 말라리아, 아구창, 기침, 강장제, 사하, 향균 및 이담작용이 있어, 습관성 변비, 세균성 이질, 구대염, 후두염, 급성간염, 담낭염, 담석증에 사용, 소염 해독작용도 있어 습진에 외용.

 

두통, 스트레스 =  케모마일, 페퍼민트, 세인트 존스 워트, 발레리안, 라벤다,  화이트 월로우

암 예방에 좋은 =  단델리온, 에크나시아,  갈릭,  진생,  바질,  패퍼민트,  스피아민트,  히솝,  타임, 

                             리코라이스,  오레가노

간장질환 좋은  =  버독,  단델리온,  밀크시스,[간세포 생성,  간 정화 작용]

편도선염 좋은  =  세이지,  레디스 맨틀,  로즈마리,  에크나시아

당뇨에 좋은     =  알팔파,  갈릭,  세인트 죤스 워트,  진생

천식에 좋은     =  알팔파,  블랙 코호식,  갈릭,  호하운드,  징코,  케모마일

어린이 건강차  =  페퍼민트,  네틀,  레드클로버,  캐모마일,  오츠스트로우

                            [자주 감기 걸리는 아이 면역성]

소화를 돕는     =  알팔파,  페퍼민트,  펜넬 씨드,  진저루트

감기에 좋은     =  페퍼민트,  엘더 플라워,

다이어트 좋은  =  펜넬,  로즈마리,  커리프렌트,  쥬니퍼베리,  홀스태일

 

숙면. 두통. 일때에는 라벤다가 좋다는군요

'♬있는風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질풀/풍로초/천상화  (0) 2007.03.08
설악초  (0) 2007.03.08
자귀풀/차풀/자귀나무  (0) 2007.03.08
푸루메리아  (0) 2007.03.08
자주달개비  (0) 2007.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