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후二胡
호금(胡琴:일명 胡弓)의 일종으로 중국어로는 얼후[二胡]라고 한다.
몸체(지름 9∼10cm)는 대 또는 단단한 나무로 만들며 모양은 둥근 것,
6각·8각으로 된 것 등이 있다. 여기다 뱀가죽을 씌우고 길이 80cm 정도의 자루를 달아,
그 자루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줄을 두 가닥 쳤다. 말꼬리로 만든 활을 그 줄 사이에 끼워
찰주(擦奏)하는데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자루를 쥐고 식지·중지·약지로 현을 누른다.
조현(調絃)은 5도, 음역은 1옥타브이다. 4현이 있는 대형의 4호(四胡)에 대한 명칭이다.
이 악기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며 청조(淸朝)의 4호는 저음인 데 반해 2호는 고음이다.
그리고 이것은 남방에서 많이 쓰이는 데서 난후[南胡]라고도 한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명아티스트: Cho Kokuryo
엘콘도파사(페루), 벵가완솔로(인도네이사, 화양연화 삽입곡),
장명 : Instrumental
발매일 : 2003.10.21
그린리브스(영국),아리랑(한국), 로렐라이(독일), 로망스(스페인), 다크아이스(러시아),뷰디풀드리머(미국),
포카레카레아나(뉴질랜드), 산타루치아(이탈리아),하비나길라(이스라엘)등 15개국의 불후의 명곡을 통한
세계음악여행 15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악을 중국의 악기인 얼후의 깊이있는 선율로 재현해낸 추천 앨범.
매혹적인 얼후의 세계 음악여행 미디어 따로 이어듣기
CD - 1 앨범 트랙
1. EL Condor Pasa D.A.Robles(Peru Folk Song)
페루의 민요로 사이먼&가펑클이 노래하여 세계적으로 히트한 곡.
편안하고 유유한 얼후의 연주, 삼바 리듬과 아르파 반주가 안데스 산맥을 연상.
2. Bengawan Solo (Indonesian Folk Song)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민요. 벵가완 솔로강의 웅대한 아름다움을 노래한
곡으로 영화 화양연화에 삽입되어 널리 화제가 됨. 우아하면서 자유롭고
생동적인 얼후의 멜로디가 인상적.
3. Skylark (Romanian Folk Song)
루마니아의 민요로서 곡의 도중에 얼후의 종달새(좌측의 스피커)와 엘렉톤의
종달새(우측의 스피커)가 서로 지져귀는 모습을 연주. 약동감 넘치는
얼후와 엘렉톤의 협주곡.
4. Cielito Lindo(Mexican Folk Song)
멕시코의 대표적인 아름다운 민요.
5. Green sleeves(England Folk Song)
16세기부터 영국에서 불리워진 마드리갈(서정적인 단시)풍의 곡. 우아한
분위기의 오보에의 음색에서 하프의 반주를 타고 얼후가 연주된다.
이어 백코러스가 나오고 리듬은 재즈왈츠로 바뀌어간다. 영국의 비탈많은
녹색 산기슭의 풍경이 떠오른다.
6. Loreley (F.Silcher)
독일의 민요. 라인강에 얽힌 로렐라이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 짐. 누구라도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는 멜로디.
7. EL Humahuaqueno(E.Saldival, France and Argentina)
원곡은 아르헨티나 우마우와카 지방의 민요, 원제목은 [카르나발리트]이며,
작은 카니발을 뜻함. 프랑스에 전해지면서, 샹송으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됨.
삼바풍의 리듬이지만, 본 음반에서는 살사 리듬을 사용하여 카니발의 화려함을 표현함.
8. Romance De Amor(Spanish Folk Song)
스페인을 대표하는 곡으로서, 기타리스트 나르시소 이에페스가 편곡한 기타
솔로곡으로서 너무나도 유명함. 1952년 르네 크레망 감독의 영화 [금지된 장난]의
영화음악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세계적으로 히트. 곡은 스페이니쉬 기타 음색으로
시작됨. 애절하게 호소하는 듯한 얼후의 음색과 엘렉톤과의 협주.
9. Hava Nagila(Israel Folk Song)
이스라엘을 건국한 유대인의 환희의 노래. 할리 파라폰테의 노래로 세계적으로 히트.
건국에 관여한 사람들이 이 노래를 노래하면서 정열을 북돋은 곡.
평화에 대한 소망을 담고 있음.
10. Arirang (Korean Folk Song)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곡. 남녀노소 사이에서 가장 널리 애창되고 있으며 우리
정서에 알맞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곡.
11. Beautiful Dreamer(S.Foster)
미국을 대표하는 가곡의 작곡가 스테판 포스터의 마지막 작품. 드라마틱하게
편곡한 곡으로, 소박하면서 웅대하며, 우아함을 담은 곡.
12. Pokarekare Ana(New Zealand Folk Song)
뉴질랜드의 국민적인 멜로디로 뉴질랜드의 원주민 마오리족의 사랑의 노래.
두 남녀의 사랑이 마지막에 이루어진다는 전설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폴리네시아계 특유의 심플한 멜로디로 우클렐레(하와이 원주민의 악기)와
스틸 기타의 음색을 선택.
13. Dahil Saiyo(M.Velarde)
필리핀을 대표하는 사랑의 노래. 마닐라의 석양의 아름다움, 수려한 산들의
아름다운 광경들을 연상하며 편곡한 곡입니다.
14. Santa Lucia( Italian Folk Song)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곡. 나폴리 해안에서 황혼의 바다로 배를 저어 떠나는
광경을 노래한 민요. 이탈리아하면 연상되는 악기는 만도린입니다
사?諍揚岵막灌? 만도린 음색을 곁들이면서 얼후의 멜로디를 서포트하여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애창되고 있는 곡.
15. Dark Eyes(Russian Folk Song)
재즈의 스탠다드가 된 곡으로, 수많은 스타일의 음악으로 편곡된 너무나도
유명한 러시아 민요. 애절한 얼후의 음색은 마음속의 애환을 다 삼켜버릴 듯함.
CD - 2 앨범 트랙
01. Concierto De Aranjuez (J.Rodrigo) / 로드리고의 내 마음의 아랑페즈
02. Les Pecheurs de Perles (G.Bizet) / 비제의 진주잡이
03. Meditaton De Thais (J.Massenet) / 마스네의 타이스 명상곡
04. Ungarische Tonze Nur 5 (J.Brahms) /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제 5번
05. Jewels of The Madonna (E.Wolf-Ferrari) / 페라리의 마돈나의 보석
06. Ave Maria (F.Schubert) / 슈베르트의 아베마리아
07. Largo From The New World (A.Dvorak) / 드보르작 신세계의 라르고
08. Largo (G.F Handl) / 헨델의 라르고
09. Le Cygne (C.Saint-saens) / 생상의 백조
10. Minuett (B.Bizet) / 비제의 미뉴엣
11. Serenade (F.Schubert) / 슈베르트의 세레나데
12. Air From Suite No.3 (J.S.Bach) / 바흐의 에어
13. Traumerei (R.Schumann) / 슈만의 트로이메라이
14. Adojo (T.Albinoni) / 알비노니의 아다지오
▲이어듣기
얼후 (고급형)
* 사이즈 : 80*13.5*9.5cm 팔각형 울림통
* 재질 : 흑단 + 고급 구렁이가죽 + 용머리 장식
* 활, 금마, 송진, 하드케이스 포함
이 악기가 얼후 (二胡, 이호).
중국에서는 거리의 걸인들이 종종 이 악기를 들고 거리나 공원에서 연주를 한다.
얼후는 조그만 통에 기둥을 세우고 두 줄을 메고, 두 줄 사이에 활을 걸쳐놓고 활로 줄을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다. 몸체는 대나무나 일반 나무로 만들고 아래 음이 울리는 통은 6각에서 8각 모양으로 생겼다. 8각 모양의 통은 앞에서 보면 뱀가죽으로 씌워져 있고 뒤에서 보면 격자무늬로 되어 있어 있는데 말총으로 된 활을 몸체가 되는 자루에 뱀가죽을 씌운 통까지 이은 명주실 사이로 마찰을 시키면서 음을 내는데 뱀가죽을 진동시키면 통 전체가 울리고 뒷면에 있는 격자모양의 음 배출구로 얼후의 음이 나온다.
얼후는 원래 중국인들이 오랑캐라고 부르던 중앙아시아의 몽고족의 악기였는데, 원래 말 위에서도 연주하기 편리하도록 두 줄 사이에 활을 끼워 넣었다고 한다. 몽고에서는 이 악기를胡琴(호치르)이라고 하며 비슷하나 좀더 큰 마두금(馬頭琴)이 있다.
이와 같은 찰현악기는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우리 나라의 해금, 중국의 얼후(二胡), 일본의 고꾸(胡弓), 태국의 소우 또는 소두앙이 있다.
'♬있는風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nusz Taras Photography... (0) | 2009.03.05 |
---|---|
Deep Blue-Jia Peng Fang (0) | 2009.03.03 |
인제 곰배령&진동계곡 (0) | 2009.03.02 |
한국 최초의 여성 뉴에이지 피아니스트 / 메이세컨 (0) | 2009.03.01 |
Ron Jones 겨울숲/Albena Markova 가을호수 (0) | 2009.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