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균 전 다음 부사장의 MB 정부 합류, 타당한가
촛불 정국을 촉발시킨 인터넷 여론을 이명박 정부가 본격적으로 통제하려고 한다는 우려가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열린 OECD 장관회의 개막연설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인터넷 여론에 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신뢰가 없는 인터넷은 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자신의 지지율을 7% 대까지 떨어뜨린 인터넷 여론이 좋을리 없을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인터넷 실명제' 확대 움직임, 경찰의 인터넷 정보 전담팀 추진, 이문열씨의 '반촛불 의병론' 주장 등을 보았을 때 이명박 정부의 인터넷 여론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해도 크게 틀린 주장은 아닐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명박 정부는 청와대 내에 인터넷담당비서관을 신설해 다음커뮤니케이션 부사장 출신이자, 현재 다음이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는 '오픈IPTV'의 사장인 김철균 대표를 내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철균 대표 역시 청와대와 접촉을 하고 비서관 내정에 대한 수락 의사가 있음을 언론에 확인해 주었다.
다소 벗어난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번 '광우병 미산 쇠고기 혁명'의 최대 수혜자는 누구일까? 바로 포털사이트 '다음'이다. 대선보도 불공정성 논란을 겪은 바 있는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는 이번 촛불 정국에서 친정부적 편집을 했다는 의혹을 누리꾼들로부터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사실상 네이버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고, 한편에서는 (주)NHN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물론 NHN 주가 하락의 원인에 대해서는 최근 공중파 방송에서 NHN 한게임의 사행성 문제를 거론하자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반면 다음은 촛불정국의 최대 수혜주다. 미디어다음이 운영하는 '아고라'는 '토론의 성지'로 부각됐다. 활발한 공론장, 아고라는 한마디로 촛불정국을 주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철균 전 다음 부사장의 청와대 인터넷담당비서관 내정은 여러 가지 우려와 기대를 동시에 갖게 만들고 있다. 인터넷기업협회 등에서는 이미 쌍수를 들고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권력과 직접 연계할 수 있는 줄이 생기는 것이므로 마다할 리 없을 것이다.
김철균 대표의 인터넷담당비서관 내정은 그 자체로는 나쁘지 않은 카드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업계와 인터넷 여론의 생리를 잘 아는 전문가를 기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인터넷 정책을 입안하고, 좋게 말해서 인터넷여론을 잘 '관리'해 나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김철균 대표의 면면을 보았을 때 전문가이며 적격자 중의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려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다. 촛불정국 진원지 중의 하나인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부사장 출신이자 현재 다음이 50%의 지분을 출자한 오픈IPTV의 사장을 인터넷담당비서관에 앉힌다는 얘기는 바로 '신(新)권언유착'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 포털의 구조와 인터넷 여론의 생리를 잘 아는 전문가에 'MB정부'의 약한 고리의 방어를 맡김으로써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가 실제로 표면화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미디어다음'의 아고라 홈페이지에서는 17일 하루 종일 한나라당의 디지털정당위원장의 글이 핫이슈 머릿글로 게재되어 있었다. 18일 오전 현재에는 '광주 양 선생이 한나라당에 바랍니다'라는 글이 핫이슈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에서는 김철균 대표 내정에 관해 일부 누리꾼들이 권언유착을 경계하는 의견글을 올리고 있지만 아고라 홈페이지 메인화면에는 노출이 되지 않고 있다.
또한 < 한겨레 > , < 경향 > , < 오마이뉴스 > , < 프레시안 > 등 진보적인 언론도 이 문제를 그렇게 비중있게 다루지 않고 있다.
촛불은 40일 넘게 타올랐지만, 아직 정권은 4년도 넘게 남았다. 촛불의 힘은 이명박 정부의 권위와 신뢰를 땅바닥으로 곤두박질치게 했지만 여러 가지 정황을 봤을 때 이명박 대통령을 권좌에서 끌어내리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자칫 잘못하다가 촛불혁명이 이명박 정부의 인터넷 통제에 묻혀 버릴 수도 있다.
이명박 정부의 인터넷담당비서관으로 김철균씨가 가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 진지하게 검토가 필요한 대목이다.
[오마이뉴스 이준희 기자]
오마이뉴스 | 기사입력 2008.06.18 20:37
인터넷담당 비서관
'2MB OUT.' 촛불시위 구호 속의 '2MB'는 이명박 대통령의 약자다.
그런데 이 약자는 컴퓨터 프로세스에서 엄청나게 느린 속도를 의미하는 2메가바이트(megabyte)란 뜻이기도 하다.
미국산 쇠고기 협상과 촛불시위에 대한 대통령의 형편없는 판단력을 메모리 용량에 비유한 것이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2MB는 좌파단체가 만든 조어(造語)가 아니다.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이 '2MB가 국민 여러분께 약속하다'는 홍보동영상을 만들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나라당의 인터넷 감각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최근 '뼈의 최후통첩'이란 제목의 패러디 동영상이 대히트를 쳤다.
영화 '본 얼터메이텀'을 패러디한 이 영상물은 요즘 누리꾼이 인터넷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는지를 잘 보여 준다.
미국산 쇠고기를 광우병 쇠고기로 몰아가는 논리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그 동영상의 기발함과 통렬함에 웃음을 터뜨리지 않을 수 없다.
다음 아고라에서 이 대통령의 탄핵을 주장해 일주일 만에 130만 명의 서명을 받아낸 장본인은 한 고등학생이었다.
▷ 인터넷의 위력에 누구보다 놀란 사람은 이 대통령 자신일 것이다.
이 대통령은 그제 '인터넷 경제의 미래'에 대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장관회의 개막식에서
"인터넷의 힘은 신뢰가 담보되지 않으면 약이 아닌 독(毒)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례적인 말이 아니라 뼈아픈 경험에서 우러난 말처럼 들렸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인터넷을 통한 여론정치에 능했던 데 비해 이 대통령은 인터넷에 대해 몰라도 너무 몰랐다.
▷청와대가 비서진 개편을 하면서 인터넷담당 비서관을 둔다고 한다.
다음 부사장을 지낸 오픈IPTV 사장 김철균 씨가 내정됐다는 소식이다.
'촛불시위 배후조사' 방침을 밝혔다가 누리꾼들의 공격에 홈페이지가 다운됐던 경찰청도 온라인 여론 동향과 정보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인터넷 정보분석 전담팀'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뒤늦게라도 인터넷의 중요성을 알았으니 다행이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인터넷도 소통의 한 통로일 뿐이므로 지나친 의존이나 규제 모두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을 움직이는 것도 결국 사람이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동아일보 | 기사입력 2008.06.19 03:14 | 최종수정 2008.06.19 04:48
'♬있는風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s Tres Diamantes - Luna Llena(희미한 옛사랑의그림자) (0) | 2008.06.23 |
---|---|
따끈 따끈한 (만화) (0) | 2008.06.19 |
소증 세대와 촛불 세대 (0) | 2008.06.19 |
신석 밀양표충비, 10.8리터 땀흘려, 국가적위기 반영? (0) | 2008.06.19 |
[서아프리카/모리타니아] Malouma - Dunya (0) | 2008.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