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있는風景

그 때 그 시절

by 진 란 2010. 1. 29.

1960년대 서울

 













































 

 

26050

 


 
 
1950년대 서울 변두리 풍경 
 
 


1960년 줄서서 쓰레기버리기운동에 참여하는 시민들 
 
 


 
1959년 신촌의 어느 골목길에서 식수를 공급받기 위해 물지게를 지고나온 여인들. 그런데 힘쓰는 남정네들은 다 어디로?
 
 


 
1954년 남성 여름복장. 당시는 중절모가 유행하던 시절이었다.
 
 


 
1960년 서울 주택가를 흐르는 개울에서 빨래하는 여인들
 
 



1960년 창경궁 밤벚꽃놀이 나온 사람들

1959년 청계천변 판자촌


1960년 종로 맞춤복전문점


1960년 청계천변 판자촌 철거


1948 남산스키장


1956 뚝섬


  1954년 연동교회


1950년대 혜화동 성당 영세식


1958년 석가탄신일 조계사


1956년 혜화동 천주교가톨릭교회


1958년 창경궁. 정부수립10주년기념 고궁개방


1959년 이승만 대통령 84회 생신기념 창경궁 무료개방에 몰린 시민들


1958년 창경궁 수정궁앞 연못에서 아이스하키 경기


1959년 창경궁 춘당지에서 보트놀이




















1960년대로 추정되는 서울 남대문시장 근처 길거리 간판 모습. 한자와 영문이 뒤섞인 한글간판 글씨체가 이채롭다



1950년대 구멍가게



1950년대 추석특별프로 징기스칸을 상영하는 극장간판 모습이 정겨웁다



1960년대 서울시내 거리풍경



1960년대 잡화점 내부 모습


출입문 위에 설치된 대형거울이 신기하다. 요즘 폐쇄회로 TV 용도와 같은게 아닐지



1950년대 학교앞 풍경. 한 여름도 아닌것 같은데 어린이들이 삼강하드를 사먹기 위해 몰려들고있다. 삼강은 당시 최고로 잘팔렸던 인기 빙과류 브랜드.



1965년 졸업식 날 아침 조회시간에 새하얀 칼라의 예쁜 교복을 입은 여고생들이 선생님들에게 감사의 선물과
가슴에 꽃을 달아주고 있다는 모습. 그 당시 여고생들의 상의의 화이트 칼라의 깃과 검정색 스타일의 교복은 뭇
남학생들이 보기만 해도 가슴을 두근거리게 할 만큼의 선망어린 대상이기도 했다. 선생님들의 헤어스타일도 요즘과 달리
가벼운 컬과 단발스타일이 주류인것을 볼수있다.패션은 글쎄..조금 촌스러운 것 같기도 하고.



1960년 경북 왜관의 중앙극장 앞.극장앞에 세워진 '마이크로 버스', 혹은 '합승' 이라 불리운 차량 모습이 귀엽다



1950년대 6.25가 끝난 직후 서울 어느 거리의 모습으로 추정.'뼈�치는 의원' 이란 글씨가 씌인 간판이 재미있다.
낡은 집들이 일제강점기왜색 스타일의 목조가옥 쯤으로 보인다



이른 아침에 학생들이 책가방이 귀하던 시절 책보를 들고 등교하고 있다.
역시 동란 직후인 1950년대 중반무렵으로 추정된다



1969년 서울의 모습. 두 아저씨가 무슨 재미나는 얘길 나누는지 파안대소 하고 있다.
버스며 택시, 길거리 간판, 자전거, 아저씨들의 신발..이 모든 것들이 마치 내가 과거로 타임머신을 타고
그 시대로 돌아간 듯 생생하기만 하다



1960년대 서울시내에서 공중전화를 걸고있는 여성의 모습이 옛날이라고는 하지만
너무나 세련되고 아름다워 보이는것 조차도 신기할 뿐이다





1950년대 전쟁직후 임시 가설된 국민학교에서 어린이들이 수업을 받고있다

'♬있는風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ng for Peace -KITARO  (0) 2010.02.02
위대한 문명에 취하고 ‘한국’ 자취에 놀라며  (0) 2010.02.02
Erik Johansson  (0) 2010.01.25
남양주군 능내리 정약용 생가  (0) 2010.01.24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   (0) 2010.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