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있는風景

Scheherazade op.35

by 진 란 2008. 5. 25.
Scheherazade op.35

림스키 코르샤코프 세헤라자데


Nikolai Rimsky-Korsakov (1844-1908)
1. THE SEA AND SINBAD'S SHIP
2. THE STORY OF THE KALENDER PRINCE
3. THE YOUNG PRINCE AND THE YOUNG PRINCESS
4. THE FESTIVAL AT BAGHAD-THE SEA
     
작품의 개요 & 배경
교향적 모음곡 《세헤라자데》는「아라비안 나이트」에 나오는
이야기를 사실적인 묘사수법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아라비안 나이트」는 아라비아의 설화문학의 보고다.
그러나 이 이야기들이 언제 누구에 의해서 집필 되었는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여러 사람들에 의해
 구전되고 집필 되었으리라고 보는데 그 양도 방대하여
온 갖가지 신기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
《세헤라자데》는 방대한 이야기의 첫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샤라아르 왕과 그의 동생 샤자만의 이야기를 옮겨
놓은 것이다. 그 대강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원래 샤라아르 왕과 그의 동생 샤자만은 매우 사이가 좋은
형제였다. 그런데 동생 샤자만에게 샤라아르 왕의 왕비가
흑인 노예와 희롱하는 장면이 목격되고 난 뒤부터는
샤라아르의 마음이 크게 변하여 폭군이 되고 만 것이다.
그런 일이 있고 난 후부터는 샤라아르 왕은 밤마다 처녀를
불러들여 동침하고 이튿날 죽여버리곤 했다.
그렇게 해서 불려 들어간 처녀 중의
한 사람이 대신(大臣)의 딸 세헤라자데였다.
세헤라자데는 많은 이야기를 알고 있어서
샤리아르 왕에게 이야기로 즐거움을 안겨줌으로써
죽음을 모면해 나갈 궁리를 짜냈다.
세헤라자데는 원래 대단한 독서가였기 때문에
각국 왕들이 전설이나 민족의 역사 등에 정통해 있었다.
게다가 이야기를 재미나게 엮어 가는 재주가 뛰어나,
 샤라아르 왕은 그녀의 다음 이야기를 듣기 위해
하루 저녁 이야기가 끝나면 어느새 다음날 저녁을 기다리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세헤라자데는 목숨을 부지해가며
천일 낮과 밤을 계속하여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아라비안 나이트」를 「천일야화(千一夜話)」라고도 부르는 것은 이런 연유 때문이었다.
땅위의 모든 여자를 미워하고 저주하던
샤라아르 왕도 세헤라자데의 이야기에 빨려들여
결국 그녀를 사랑하게 되었고, 마침내 왕비로 맞아들여
훌륭한 명군(名君)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적 모음곡《세헤라자데》는
 그 많은 이야기들 가운데 네 개를 골라 음악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이 곡의 제목으로 쓰고 있는 《세헤라자데》는
네 개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화자(話者)의 역할밖에 하지 않는다.
 즉 곡의 직접적인 내용과는 아무런 관계를 갖지 않고,
그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에 불과한 것이다.
림스키-코프사코프가 이 곡을 쓰려고 마음먹은 것은 1887년이다.
43세가 된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이 때 창작열이 원숙의 경지에 올라서 있었으며
그의 관현악법에 대한 자신감이 무르익을 대로 무르익을 때였다.
그는 세헤라자데가 샤리아르 왕에게 들려준
무수한 이야기 가운데 네 개를 골라서 4악장 형식의 모음곡으로 작곡했다.
약 2년 간에 걸친 작업 끝에 1888년 말쯤에 완성을 본 것이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나중에 이 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회술 한 바 있다.
"나 자신의 공간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듣는
이의 귀를 돌리기 위해 곡의 내용을 암시하는 표제를 달아보았다.
만약 청중이 이 곡을 교향곡으로 즐기려 한다면
 네 개의 악장에 공통된 주제를 바탕으로
한 매우 재미있는 이야기에 접근하는 듯한 그런 인상을 주지 않으면 안된다."
.
그가 「아라비안 나이트」중에서 택한
네 개의 이야기는 제1곡 「바다와 신밧드의 항해」
제2곡「칼랜더 왕자의 이야기」
제3곡「젊은 왕자와 젊은 공주」
제4곡「바그다드의 축제」이다.
4개의악장 사이에 내용적인 관련은 없으나
전편을 통해 트럼본 저음으로 나타나는
 험악하고 잔인한 샤리알의 테마와
부드럽고 아름다운 바이올린 독주의
세헤라자데 테마가 주요 역할을 한다.
어느 곡이나 그 이야기에 걸맞는 사실적이면서도
섬세한 관현악의 표현이 장관을 이루고 있는데
 이와같이 완벽한 묘사음악의 예는 음악사 전체를 통털어서도 결코 흔치 않는 일이다.
 이처럼 설화문학의 재미를 멋진 음악의 향연으로 옮겨놓은 것이
교향적 모음곡 《세헤라자데》이다.
     
작품의 구성
제1악장 「바다와 신밧드의 항해」largo e maesteso-allegro non troppo
‘바다와 신밧드의 배’에서 뱃전을 위협하며 우르릉대는 바다의 묘사. 힘차고 웅장한 샤리알과 부드러운 세헤라자데의 테마가 어우러지고 흔들리는 듯한 대양의 리듬이 나타난다.
제2악장 「칼랜더 왕자의 이야기」 lento-andantino
적막한 초원지대를 묘사하는 듯한 고적한 바순의 독주가 일품. 자유롭고 유머러스한 왕자의 모험 이야기에 샤리알이 노여움을 풀고 웃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제3악장 「젊은 왕자와 젊은 공주」 andantino quasi allegretto
‘젊은 왕자와 젊은 공주’의 유려하기 그지없는 현악 선율 등 그 무엇이든지…. 굳이 왜곡된 ‘오리엔탈리즘’의 한 형태라고 보자. 가장 인기있는 악장으로서 왕자와 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우아하고 이국적인 색채로 그려진다.
3곡은 특히 왕자와 공주의 사랑을 주제로 한 곡인데, 주로 현에 의해 전개되는 동양풍의 선율이 굉장히 아름답습니다. 아름다운 림스키코르샤코프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직접 Encoding 한 곡입니다.
 
3. the young prince and the young princess
Jose Serebrier
London Symphont Orchestra
Joakim Svenheden, violin
제4악장 「바그다드의 축제」
allegro molto-lento
바그다드의 이교풍 축제와 해양의 높은 물결에 뒤집히는 신드바드의 배를 묘사하고 있으며, 고요해진 바다이후 샤리알과 세헤라자데의 테마가 다정스럽게 얽히며 행복하고 화목한 생활을 암시하듯 조용히 끝난다.
     
바그다드의 꿈 실은 '세헤라자데'
모험으로 부자가 된 신밧드의 후손들은 어디에 살까.
오늘날 격렬한 미국과의 게릴라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바그다드가 바로 신밧드의 정착지였다. 테헤란에서 카이로에 이르는 아랍권 거의 대부분이 ‘천일야화(千一夜話)’ 또는 ‘아라비안 나이트’의 무대로 되어 있지만, 이 수많은 이야기들의 기본적인 골격은 바그다드가 있는 유프라테스강 연안에서 만들어졌다.
러시아인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천일야화’를 교향곡과 비슷한 4악장 관현악곡으로 꾸며 ‘교향모음곡 세헤라자데’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것은 1888년. 이보다 앞서 그의 친구인 보로딘은 1880년 ‘중앙아시아의 초원에서’라는 교향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음악가들의 관심사가 오늘날 ‘∼스탄’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남쪽의 스텝지역으로, 이어 이슬람권의 중심부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유가 뭘까.
그것은 당시 제정러시아의 남진정책 및 확장정책과 관계가 있다. 당시 중앙아시아의 패자였던 터키의 세력은 퇴조하고 있었고, 러시아는 이 지역을 장악하려는 야심을 키우고 있었다. 지식인들의 화제에서도 이슬람권이 큰 부분을 차지했던 모양이다. 러시아의 정치적인 꿈은 중앙아시아를 영유하는 데서 그쳤지만 음악가들의 꿈은 오늘날 주옥같은 관현악곡의 명편으로 남았다.
‘세헤라자데’는 특히나 관현악에 쓰이는 여러 악기의 독특한 효과를 한치의 오차 없이 활용할 수 있었던 코르사코프의 재주가 유감 없이 발휘돼 있다. 1악장 ‘바다와 신밧드의 배’에서 뱃전을 위협하며 우르릉대는 바다의 묘사, 2악장에서 적막한 초원지대를 묘사하는 듯한 고적한 바순의 독주, 오늘날 광고음악으로도 각광을 받는 3악장 ‘젊은 왕자와 젊은 공주’의 유려하기 그지없는 현악 선율 등 그 무엇이든지…. 굳이 왜곡된 ‘오리엔탈리즘’의 한 형태라고 보자고 하면 그 또한 틀리지 않겠으나, 우리는 CD 한 장으로 꿈결같은 아랍 여행을 체험하고도 남는다.
LP시대에 이 작품의 전설적인 명연은 토머스 비첨 지휘 로열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연주(EMI·1957 녹음)였다. 현과 목관에서 탐미적이며 유려한 감각을 한껏 뽑아낼 줄 알았던 ‘호사가적’ 지휘자 비첨의 장기가 마음껏 발휘된다.
러시아의 ‘민족주의’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는 자신의 악단인 마린스키 극장 키로프 오케스트라와 함께 최근 새 앨범을 내놓았다(필립스·2002 녹음). 게르기예프의 연주 중에서는 다소 개성이 적은 편이기는 하지만 탄탄하고 견실한 음향을 넉넉히 펼쳐낸 역연으로 꼽을 만하다. DVD기술을 적용한 고음질CD인 ‘슈퍼오디오CD’ 플레이어 겸용으로 제작됐으며, 일반 CD플레이어에서도 사방을 감싸는 서라운드 음향을 만끽할 수 있다.
작품의 특징
1874년 경에는 러시아 민요수집, 편곡에 열의를 나타내어 국민주의에 대한 접근을 나타내는 한편 실내악과 푸가를 포함하는 피아노곡의 작곡등을 통해 전통적 수법을 소화하는 데에도 의욕을 보였다. 그의 관현악은 색채적인 동시에 환상적이며 객관적 묘사가 뛰어났다. 이것은 직접 근대 음악의 오케스트레이션에 이어지는 것으로서 제자인 스트라빈스키나 프로코키예프 등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독일 낭만파적 표현과 러시아 민요의 선율의 융합이 이같은 오케스트레이션과 맺어졌을때 가극과 관현악곡 등의 표제적인 작품에서 독자적 효과가 발휘되었던 것이다.
교향모음곡 [셰헤라자데]
1887년(43)에서 그 이듬해에 걸치는 2년 동안은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창작의욕이 불처럼 타오르던 때다. 그는 이 2년 동안에, 현재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는 「스페인 기상곡」, 교향모음곡 「셰헤라자드」,서곡 「러시아의 부활제」등 오케스트라의 명곡을 이따라 내놓았던 것이다.
「아라비안 나이트」의 여주인공 이름을 딴 이 교향모음곡 「셰헤라자드」의 작곡은 서곡 「러시아의 부활제」와 거의 동시에 진행되어 1888년(44) 8월 7일에 완성, 그해 안에 초연되었고. 이때는 그가 형처럼 친히 지내던 무소르그스키도 세상을 떠났고, 보로딘도 전해에 이미 죽었다.
「아라비안 나이트」란 것은 아라비아 설화문학 가운데서 가장 많이 외국어로 번역되었고, 따라서 가장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 이야기인데, 그 길이도 대단해서 보통 문고본으로 30책이나 되는 대단한 이야기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중국의 장편소설 「금병매」처럼 언제 누구의 손에 의해 씌어졌는지 분명히는 모른다. 추측인데 인도에서 시작되어 페르시아, 아랍 등지로 옮아가는 긴 세월 동안에 여러 집필자에 의해 씌어졌으리라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이것이 「아라비안 나이트」의 그야말로 천분의 1에 불과한 시초의 이야기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근대 오케스트레이션의 대가」라 불린 사람이다. 그의 실력은 이 곡에서 최고로 발휘되고 있다. 작곡자 자신은 이 곡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시대의 나의 악기 편성법은 바그너의 영향을 받지 않고, 글링카의 오케스트라의 보통 범위 안에서 매우 기교적이고 빛나는 음향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오케스트레이션의 효과도 그렇지만, 전곡에 넘치는 동양적 선율의 아름다움은

'♬있는風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국사의 옛모습  (0) 2008.05.26
보디가드에 둘러싸인 아가씨ㅡ 알고보니?  (0) 2008.05.25
바로 나이게 하소서 / 수잔 폴리스슈츠  (0) 2008.05.25
Je t'aime Mon Amour  (0) 2008.05.25
5월의 풍경들  (0) 2008.05.25